[공지] 탄소중립과 생태환경교육을 위한 기획전시 운영
❍ 전 시 명 : 탄소중립과 생태환경교육 기획전시 “ 뜨거운 지구 열차를 멈추기 위해 ”
❍ 운영기간 : 2021. 7. 19(월) ~ 8. 31(화) / 휴무일 제외
❍ 대 상 : 센터 방문객 누구나
❍ 장 소 : 인천업사이클에코센터
❍ 내 용 : 뜨거운 지구 열차를 멈추기 위해 저서 일러스트 및 원화 전시
❍ 주 최 : (사)환경교육센터, 모두를위한환경교육연구소,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관련 도서(출처:책정보, 뜨거운 지구 열차를 멈추기 위해 : 네이버 책 (naver.com))
책소개
★★★환경부, 국가환경교육센터의 환경도서 출판 지원사업 선정작★★★
이 책은 대중에게 친근한 환경도서로, 환경교육의 내실화를 도모하는 도서임을 인정받아
환경부, 국가환경교육센터의 창작지원금을 받았습니다.
“모두를 위한 내일을 그리다”
기후위기, 환경재난, 팬데믹, 거주불능과 같은, 심상치 않은 단어들이 일상을 파고들고 있습니다. 해마다 뜨거워지는 지구는 각종 이상 징후들로 위기경보를 보내고 있죠. 그 어느 때보다 심각한 위기상황에 놓인 우리 모두를 위해 오랜 시간 환경교육과 활동에 몸담아 온 네 명의 저자들이 뭉쳤습니다.
‘우리가 바라는 내일은 어떤 모습일까?’ ‘기후위기 시대 마지막 희망인 청소년들이 생각하고 실천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과연 교육은 희망이 될 수 있을까?’
이 책은 이 모든 질문에 대한 치열한 고민이자 해답입니다. 저자들은 호주, 독일, 영국, 수단, 남아프리카공화국, 캄보디아, 쿠바, 태국, 일본, 우리나라 등 6대주 곳곳의 다양한 환경교육 실천 현장을 찾아 질문을 던졌습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발견한 희망의 이야기들을 이 책에 펼쳐놓습니다.
《뜨거운 지구 열차를 멈추기 위해》는 생명과 생태, 공평과 정의, 나눔과 배려, 공감과 책임이라는 8가지 핵심가치 아래, 다양한 방식으로 실천 중인 환경교육의 사례들을 담아냅니다. 각각의 이야기들은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일상의 문제제기로 시작되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를 얻고,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발전을 꾀하며, 시민의 힘으로 내일을 바꾸고, 자원을 낭비하지 않는 소비생활을 실천하는 삶을 대안으로 제시합니다. 공평하고 정의롭고 평등한 환경을 만들어가는 각각의 사례들은 지속가능한 내일, 공존하는 미래의 가능성을 보여줘요.
저자소개
저자 : 장미정
자연과 사람이 함께 행복한 세상을 꿈꾸는 환경교육가입니다. 대학에서 환경학을, 대학원에서 환경교육을 공부했어요. 모두를위한환경교육연구소 대표, 서울대 환경교육과정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환경교육센터 이사,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비상임이사, 한국환경교육학회와 한국환경사회학회 이사, 환경부 환경교육진흥실무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 자연과 사람을 그리는 사람들의 모임 〈그린스케쳐스〉 드로잉리더로, 일상예술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저자 : 변원정
김변원정
배낭여행 길에서 ‘지속가 능한 발전’이라는 화두를 찾고 세상을 학교삼아 살기 시작했습니다. 2005년부터 경남 통영에서 국내 첫 유엔지속가 능발전교육 통영센터와 세자트라 숲을 시작 하 여 2016년까지 사무국장으로 일했습니다. 2016년 겨울부터 프랑스 파 리에 위치한 유네스코 본부 지속가능발전교육과에서 선임전문관으로 근무하며 지속가능발전교육 정책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저자 : 정세연
하리타
서울의 아파트촌에서 나고 자랐지만 흙내음 가득한 숲이 내 고향 같고, 코를 킁킁대는 동물들이 형제자매와 같습니다. 2014년 독일로 건너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환경거버넌스 석사과정을
밟았으며, 국제교류 코디네이터 및 통번역가로 여러 환경교육기관과 함께 일했습니다. 모두를위한환경교육연구소 비상임 연구위원 으로 유럽의 소식을 전하고 있습니다. 필명 ‘하리타’로 젠더, 이주, 환경 분야의 다양한 글을 쓰고 있습니다.
저자 : 임수정
일본의 주민운동을 연구하여 2016년 도쿄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대학원 졸업 후 환경운동과는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바꾸어가는 환경교육을 접하고, 일생을 함께할 새로운 연구주제를 찾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모두를위한환경교육연구소의 선임연구원, 한국환경사회학회와 한국환경교육학회의 이사로 활동하며, 대학에서 학생들과 만나고 있습니다.
기획: 환경교육센터